본문 바로가기
주식

🧪 HBM 소재·장비 종목 집중 탐구 – 저평가된 국내 강자는 누구인가?

by 세상 모든 주식 2025. 5. 8.
반응형

🧪 HBM 소재·장비 종목 집중 탐구 – 저평가된 국내 강자는 누구인가?


✅ 서론 – 메모리만 보지 마라, 진짜 수혜는 ‘주변’에 있다

HBM은 단순히 DRAM이 아니다.

  • TSV(Through-Silicon Via)
  • 적층 본딩
  • 실리콘 인터포저
  • 패키지 기판
  • 언더필 등 복잡한 공정과 소재가 함께 들어간다.

➡ 그래서 **HBM의 확대는 ‘제조사의 성장’이 아니라 ‘생태계 전체의 레벨업’**을 의미한다.


🏭 1. 장비 부문 – HBM 적층·TSV 핵심 기술 기업

✅ 한미반도체

  • 📌 HBM 적층용 본딩 장비 선두
  • ✅ SK하이닉스, 삼성, 마이크론 모두 고객사
  • ✔️ 적층 다단화(12→16단) 추세에 따라 출하량 급증 기대

저평가 포인트:

  • AI 테마주로 단기 급등했지만, 실적 기반 상승은 이제부터 시작
  • 실적 PER(2025E) 기준 15배 이하

✅ 원익IPS

  • 📌 TSV(실리콘 관통전극) 식각·증착 장비 공급
  • DRAM·HBM 라인 증설 시 동반 수혜
  • ✅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

저평가 포인트:

  • 장비 업종 PER 대비 낮은 밸류
  • 메모리 사이클 회복기에 주가 선행 상승 경향 있음

✅ PSK

  • 📌 플라즈마 장비 기반 웨이퍼 전처리 기술
  • TSV + 인터포저 패턴 형성 공정 강점
  • ✅ 후공정 연계 공정 확대 가능성

저평가 포인트:

  • 매출 다변화 미진하나, HBM 연계 수주 확대 중

🧪 2. 소재 부문 – 패키징 기판과 열처리 보조재

✅ 심텍

  • 📌 HBM용 FC-BGA(고다층 패키지 기판) 주력
  • ✅ 글로벌 GPU 기업 납품
  • 2024~2025년 신공장 증설

저평가 포인트:

  • AI 서버 수요 + 반도체 기판 대형화 → 단가 + 수량 동시 확대

✅ PI첨단소재

  • 📌 PI필름 기반 절연체/열전도체 소재
  • HBM 고발열 구조 대응 필수 부품
  • ✅ FCBGA 및 실리콘 인터포저 보호용

저평가 포인트:

  • 고성능 제품으로 리레이팅 가능성
  • 2025년 실적 반등 시 PER 10~12배 구간

✅ 두올산업

  • 📌 언더필 및 EMC(에폭시몰딩컴파운드)
  • 적층된 HBM 칩 사이 충진재
  • 삼성전자 패키징 공정 내 납품

저평가 포인트:

  • 소형주로 저평가 극심, 1~2개의 수주만으로 턴어라운드 가능

🔍 기술 수혜 요약 표

기업기술분야HBM 적용 포인트투자 포인트
한미반도체 본딩장비 다단 적층 장비 적층 증가 = 실적↑
원익IPS TSV식각 HBM 전극 구조 DRAM CAPEX 연동
심텍 기판 FC-BGA AI 서버 수요 증가
PI첨단소재 절연소재 열 차단·유지 고기능 필름 시장 확대
두올산업 언더필 HBM 적층 간 충진 저평가 소형주
 

📌 결론 – 메모리는 시작일 뿐, 주변이 진짜 오른다

  • HBM은 소재·장비·기판·열처리·본딩까지 5개 이상의 공급망 기업이 맞물리는 고부가 산업
  • 삼성, 하이닉스, 마이크론의 CAPEX 발표 후
    실제로 가장 먼저 매출이 찍히는 곳은 소재·장비 섹터

💬 “HBM을 둘러싼 기업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. 먼저 오르는 건 늘 ‘조용한 부품’이었다.”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