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🧪 HBM 소재·장비 종목 집중 탐구 – 저평가된 국내 강자는 누구인가?
✅ 서론 – 메모리만 보지 마라, 진짜 수혜는 ‘주변’에 있다
HBM은 단순히 DRAM이 아니다.
- TSV(Through-Silicon Via)
- 적층 본딩
- 실리콘 인터포저
- 패키지 기판
- 언더필 등 복잡한 공정과 소재가 함께 들어간다.
➡ 그래서 **HBM의 확대는 ‘제조사의 성장’이 아니라 ‘생태계 전체의 레벨업’**을 의미한다.
🏭 1. 장비 부문 – HBM 적층·TSV 핵심 기술 기업
✅ 한미반도체
- 📌 HBM 적층용 본딩 장비 선두
- ✅ SK하이닉스, 삼성, 마이크론 모두 고객사
- ✔️ 적층 다단화(12→16단) 추세에 따라 출하량 급증 기대
저평가 포인트:
- AI 테마주로 단기 급등했지만, 실적 기반 상승은 이제부터 시작
- 실적 PER(2025E) 기준 15배 이하
✅ 원익IPS
- 📌 TSV(실리콘 관통전극) 식각·증착 장비 공급
- DRAM·HBM 라인 증설 시 동반 수혜
- ✅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
저평가 포인트:
- 장비 업종 PER 대비 낮은 밸류
- 메모리 사이클 회복기에 주가 선행 상승 경향 있음
✅ PSK
- 📌 플라즈마 장비 기반 웨이퍼 전처리 기술
- TSV + 인터포저 패턴 형성 공정 강점
- ✅ 후공정 연계 공정 확대 가능성
저평가 포인트:
- 매출 다변화 미진하나, HBM 연계 수주 확대 중
🧪 2. 소재 부문 – 패키징 기판과 열처리 보조재
✅ 심텍
- 📌 HBM용 FC-BGA(고다층 패키지 기판) 주력
- ✅ 글로벌 GPU 기업 납품
- 2024~2025년 신공장 증설
저평가 포인트:
- AI 서버 수요 + 반도체 기판 대형화 → 단가 + 수량 동시 확대
✅ PI첨단소재
- 📌 PI필름 기반 절연체/열전도체 소재
- HBM 고발열 구조 대응 필수 부품
- ✅ FCBGA 및 실리콘 인터포저 보호용
저평가 포인트:
- 고성능 제품으로 리레이팅 가능성
- 2025년 실적 반등 시 PER 10~12배 구간
✅ 두올산업
- 📌 언더필 및 EMC(에폭시몰딩컴파운드)
- 적층된 HBM 칩 사이 충진재
- 삼성전자 패키징 공정 내 납품
저평가 포인트:
- 소형주로 저평가 극심, 1~2개의 수주만으로 턴어라운드 가능
🔍 기술 수혜 요약 표
기업기술분야HBM 적용 포인트투자 포인트
한미반도체 | 본딩장비 | 다단 적층 장비 | 적층 증가 = 실적↑ |
원익IPS | TSV식각 | HBM 전극 구조 | DRAM CAPEX 연동 |
심텍 | 기판 | FC-BGA | AI 서버 수요 증가 |
PI첨단소재 | 절연소재 | 열 차단·유지 | 고기능 필름 시장 확대 |
두올산업 | 언더필 | HBM 적층 간 충진 | 저평가 소형주 |
📌 결론 – 메모리는 시작일 뿐, 주변이 진짜 오른다
- HBM은 소재·장비·기판·열처리·본딩까지 5개 이상의 공급망 기업이 맞물리는 고부가 산업
- 삼성, 하이닉스, 마이크론의 CAPEX 발표 후
실제로 가장 먼저 매출이 찍히는 곳은 소재·장비 섹터
💬 “HBM을 둘러싼 기업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. 먼저 오르는 건 늘 ‘조용한 부품’이었다.”
반응형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🇯🇵 2025년 일본 배당주 추천 TOP7 – 안정적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를 위한 리스트 (2) | 2025.05.08 |
---|---|
🇯🇵 일본 주식 사는 방법 – 한국에서 쉽고 안전하게 시작하는 법 (2025 최신 가이드) (1) | 2025.05.08 |
🧭 HBM 공급망 투자지도 – 가장 먼저 수혜받는 기업은? (0) | 2025.05.08 |
⚔️ SK하이닉스 vs 삼성전자 HBM 경쟁, 승자는 누구인가? (0) | 2025.05.07 |
💡 삼성전자 반도체 주가 분석 – AI 반도체 시대, 삼성의 기회와 변수 (0) | 2025.05.07 |